[팩트UP=설옥임 기자]국민 10명 중 7명은 의대 정원을 점진적으로 증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8월 31일∼9월 1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대 정원 확대'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68.9% '점진적인 의대 정원 확대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일괄 증원이 적절하다'는 답변은 22.6%, '잘 모른다' 8.4%였다. 정부의 2천명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지 않다' 44.9%, '그렇지 않은 편이다' 16.5%로 부정 답변이 61.4%였다. 내년도 의대 신입생 정원을 조정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그런 편이다' 21.7%, '매우 그렇다' 43.3%로 긍정 답변이 65.0% 나왔다. '현재와 같이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계속된다면, 응급실 진료 제한 같은 필수의료에 대한 의료공백 사태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4.5%가 '지금보다 더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의 의료공백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매
[NH투자증권=한승현 연구원] 2021년 이후 글로벌 헬스케어 지수는 금리 인상에 따라 전체 시장 대비 언더퍼폼을 지속해왔다. 다만 올해 7~8월 전체 시장 조정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헬스케어 지수는 금리 인하 기대감 덕분에 시장 대비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시, 대형주 주가 견조세 부적으로 대형주 중심의 S&P500 헬스케어, NBI지수와 바이오텍 EFF인 XBI의 연중YTD 수익률은 약 10% 초중반으로 유사한 수준이다. 다만 7~8월 시장 조정 당시 S&P500 헬스케어 및 NBI는 경기 침체 방어주 성격 부각되며 대형 헬스케어 지수가 XBI 대비 견조하게 유지된 점에 주목하는데 향후 금리 인하와 더불어 글로벌 매크로상황에 따라 글로벌 헬스케어 대형주 및 바이오텍 지수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다. ◆ ″뷰티 디바이스는 이제 피어나는 시장″ 의약품 밸류체인은 크게 개발, 생산, 판매 세 가지 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는 신약개발(2015~2017년), 판매(2017~2020년), 생산(2020~2024년) 중심으로 한 단계씩 발전해 왔다. 구체적으로 지난 2015년 한미약품[128940] 주도로
[팩트UP=설옥임 기자]중견기업의 절반은 2014년 7월 중견기업법 시행 후 경영환경 개선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달 2~15일 392개 사 대상으로 한 '중견기업법 시행 10주년 기념 중견기업계 의견조사'에서 47.4%의 중견기업이 "중견기업법 시행 전보다 경영환경이 나아졌다"고 응답했다고 28일 밝혔다. '개선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12%였다. 중견기업의 58.9%는 '대기업-중소기업’의 이분법적 시각도 개선됐다고 봤다. 미흡은 12%였다. 중견련은 "중견기업법에 근거해 다양한 지원시책이 추진되고, 조세특례제한법 등 여러 법률에 중견기업이 포함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 10년간 정부의 중견기업 시책에 대해 중견기업의 48.5%는 우수, 37.2%는 보통이라고 평가해 중견기업계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견기업법은 선순환하는 성장사다리 구축 필요성에 따라 2013년 12월 10년 한시법으로 국회를 통과, 2014년 7월 시행됐다. 지난해 3월에는 한시법 제한 규정을 삭제하고 상시법으로 전환됐다. 정부는 중견기업 육성을 위해 2012년 지식경제부에 최초로 설치한 이후, 2015년부터 5년마다 '중견
[팩트UP=이세라 기자]2024 파리 올림픽에서 가장 감동적이었던 순간은 '배드민턴 안세영의 금메달'인 것으로 조사됐다. 스타뉴스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19~69세 남녀 10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파리 올림픽에서 가장 감동적이었던 한국 경기'로 응답자의 22%(이하 1·2순위 합계)가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결승전'을 선택했다. 안세영은 8월 5일 프랑스 파리의 포르트 드 라 샤펠 아레나에서 열린 배드민턴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중국의 허빙자오를 2-0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땄다. 안세영의 결승전은 1순위에서도 12%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다음으로는 '양궁 여자 단체전 결승'이 17%로 뒤를 이었다. 임시현-남수현-전훈영이 출전한 한국은 중국을 슛오프 끝에 5-4로 꺾고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여자 단체전 10회 연속 금메달의 위업을 달성했다. 김우진(32)의 '양궁 남자 개인전 결승'은 16%로 3위에 올랐다. 김우진은 브래디 엘리슨(미국)을 6-5로 제치고 이번 대회 3관왕에 오르며 역대 올림픽 한국 선수 최다인 통산 5번째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한국이 연장 승부 끝에 극적으로 독일을 꺾은 '유도 혼성 단체전 동
[팩트UP=이세라 기자]주로 중장년층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통풍이 최근 20~40대 젊은 세대에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통풍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 30만8,728명이었던 환자수는 2023년에 53만5,100명으로 약 73% 증가했다. 환자 대부분은 남성으로 2023년 기준 약 93%(49만6290명)를 차지했다. 특히 2040남성 환자의 경우 평균 증가율을 크게 웃도는데 10년전 대비 20대는 약 167%, 20대는 109%, 40대는 83%가 늘어, 2023년 전체 통풍 환자의 약 48%를 차지했다.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김유근 병원장은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변의 조직 등에 침착되는 질병으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라며 “통증의 강도가 굉장히 세서 통풍 발작이라는 표현을 하는데, 주로 밤이나 새벽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급하게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많다”라고 말했다. 통풍은 퓨린이라는 성분이 몸 속에서 필요한 곳에 쓰이고 나면 요산이라는 찌꺼기 물질이 남는데, 요산 찌꺼기가 소변 등을 통해 다
[팩트UP=설옥임 기자]글로벌 경기 둔화, 내수부진 우려 등 경영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올해 하반기 대기업 채용시장이 여전히 어두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응답 1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대기업 10곳 중 6곳(57.5%)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중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40.0%, ‣채용이 없는 기업은 17.5%였다. 2023년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올해 하반기 ‣채용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17.5%)은 0.9%p 증가했고, ‣채용계획 미정이라고 응답한 기업(40.0%)은 8.0%p 감소했으며, ‣채용계획을 수립한 기업(42.5%)은 7.1%p 늘었다. 한경협은 “올 하반기 채용계획을 수립한 기업 비중(42.5%)이 작년(35.4%)보다 늘어난 것은 최근 기업들이 수시채용을 확대하면서 대규모 인력을 정해진 기간에 뽑는 공개채용과 달리 채용시기‧규모 등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채용계획 수립 부담이 완화된
[팩트UP=이세라 기자]고물가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근로자들의 월 소득은 지난해와 동일하거나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근로자 1327명을 대상으로 ‘소득’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먼저 현재 소득이 전년도와 비교해 어떻게 달라졌는지 묻자 응답자의 60.3%가 ‘달라진 것이 없다’고 답했으며, 20.5%는 ‘감소했다’, 19.2%는 ‘증가했다’고 답했다. 근로 형태별로 살펴보면 정규직의 경우 ‘증가했다(21.6%)’는 응답이 ‘감소했다(12.5%)’는 응답보다 약 2배 높게 나타난 반면, 비정규직은 ‘감소했다(39.9%)’는 응답이 ‘증가했다(13.5%)’는 응답보다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 감소한 이유로는 ‘근로 시간 감소(39.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야근 수당, 초과근무 수당 등 각종 수당 감소(18.3%) △연봉 삭감(16.5%) 역시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이직으로 인한 연봉 감소(13.6%) △휴직(7.4%) △해고·퇴사(4.8%) 순으로 이어졌다.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살림살이가 나빠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1.5%가 ‘그렇다’고 답했다. 15.6%는 지난해와 큰 차이가
[팩트UP=이세라 기자]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이어 나가는 ‘헬스디깅(Health Digging)족’이 증가하고 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Z세대 중 91.2%가 최근 6개월 동안 주기적으로 운동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운동 시 돈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야로 음식∙식단을 뽑은 비율이 48.2%에 달한다. 이에 맛있고 건강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음식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필수영양소 섭취 및 운동 후 근손실 방지를 위한 단백질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뜨겁다. 2021년 국내 단백질 시장 규모는 2018년 대비 약 4배 성장한 3364억원에 달해 그 열기를 입증하고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헬스디깅족을 겨냥해 건강을 보다 깊이 파고들 수 있도록 'DEEP' 식음료를 선보이고 있다. 매일(Daily) 간편하게 즐기기 좋거나 플레이버를 확장(Expansion)한 제품은 물론 환경(Eco-Friendly)까지 생각한 식물성 제품 등 다양한 단백질 함유 제품은 물론 이와 함께 마시면 건강함을 높일 수 있는 환상의 짝궁(Pair) 음료까지 출시하며 소비자의 눈길을 끌고 있다. 풀무원다논은
[키움증권=신민수 연구원] 스킨 부스터는 필러의 하위 분류로서 볼륨을 채워주는 기능보다 피부를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춘 제품들을 의미한다. 필러는 크게 HA, CaHA, PN, PLA 등의 유효 성분을 기반으로 제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PN 필러가 스킨 부스터로 자리매김하며 내수 시장은 물론 2023년 1분기부터 수출 물량도 늘리며 해외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Allergan의 ′SKINVIVE by Juvederm′이라는 스킨 부스터 제품이 출시되며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 ◆ ″뷰티 디바이스: 이제 피어나는 시장″ 비만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살이 갑자기 빠져 얼굴이 이전보다 안좋아 보이는 ′Ozempic Face′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필러 등 미용 주사제들이 언급되고 있고 여러 에스테틱 업체의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혜를 기대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2025년부터 GLP-1 치료제 CAPA가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산업의 구조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대형 셀럽들이 연어 정자를 피부에 주입하는 미용
[팩트UP=설옥임 기자]한국의 Z세대(18∼27세)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업무 중 일이 막히면 맨 먼저 인공지능(AI)에 도움을 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I를 최우선으로 찾는 비율은 서구 선진국과 비교해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삼성전자는 한국·미국·영국·프랑스·독일 등 5개 국가의 Z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과 AI에 대한 이들의 견해를 조사한 보고서를 최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업무상 도움이 필요할 때 맨 먼저 찾아보는 수단(the first go-to resource)으로 AI를 꼽은 Z세대의 비율이 한국은 80%로 미국(56%), 영국(59%), 독일(61%), 프랑스(55%)를 19∼25%포인트씩 앞질렀다. AI가 업무 방법을 더 낫게 바꿀 수 있다고 내다본 응답도 한국은 80%에 달해, 답변율이 50∼60%대에 그친 다른 4개국과 대조를 이뤘다. 한편 시중에 AI 앱(응용프로그램)이 많아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반응은 한국이 75%로 가장 많았다. 영국과 독일은 이 수치가 각각 63%와 62%였고 미국(60%)과 프랑스(57%)가 그 뒤를 이었다. 즉 국내 Z세대는 AI 도구의 범람에 예민하게 반응해도, AI가 직장에 미칠 여파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