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고부가 유기실리콘(Silicone) 산업은 Top 5가 과점 중이다. 일본 Shin-Etsu, 미국 Dow, 독일 Wacker, 한국 KCC(Momentive), 노르웨이 Elkem이 전체 시장의 80~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노르웨이 Elkem은 1분기 실적발표에서 실리콘 사업의 매각 가능성을 거론한 이후, 2분기에는 해당 사업부가 현재 중단사업인 만큼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했다고 언급했다. 2025년 말 이전을 목표로 전략적 검토를 현재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 ″경쟁력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최근 뚜렷한 EBITDA 마진율 개선(2Q23 -11% → 2Q24 +1% → 2Q25 +6%)에도 불구하고 사업부 매각을 검토한 이유는 ′경쟁력 개선의 한계′ 때문이다. 실리콘은 자동차, 생활용품, 의료용, 건설/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전방마다 요구하는 물성이 세분화되어 있어 대부분 특허로 보호되어 있다. 실제 KCC(모멘티브)는 전신이 GE로 전 세계에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출원된 특허만 3400개 이상(최근 10년 간 1868건)이다. Elkem은 이렇게 강력한 특허를 뚫고 고부
[유진투자증권=황성현 연구원] 지난 주 정유, 화학, 배터리, 태양광 기업 주가가 대부분 5% 이상 급등했다. 이는 7월 1일 개최된 중국 중앙재정경제위원회 6차 회의 이후 중국의 공급측 구조조정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선물 시장의 대다수 제품 가격 급등이 시작됐으며, 구조조정 기대감이 큰 태양광 폴리실리콘은 5거래일 이상 상승 중에 있다. ◆ ″산업 고도화 방향으로 전개 가능성 높다″ 중국에서는 최근 투자 및 소비 위축으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되며 수요 촉진만으로는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 중이다. 중국 정부는 수급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공급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마련해 연내 발표가 예상되고 있다. 2025년 1분기 기준 중국 산업체 평균 가동률은 74.1%이며 이는 이전 공급측 개혁 당시 최저 수준과 유사한 규모이다. 2015년 공급측 개혁은 철강, 석탄, 시멘트에 국한되었으나 이번 계획은 태양광, 배터리, 전기차 등 민간 기업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이번 공급측 개혁은 과거처럼 물리적 생산능력 감축을 강행하기보다
[NH투자증권=이은상 연구원] 2025년 수주 실적과 신사업의 방향성 등을 감안 시 건설업종 내 최선호주로는 현대건설[000720]을, 차선호주로는 GS건설[006360]을 제시한다. 금리 인하, 재정 투입, 수도권 공급 물량 감소 등 업황 반등을 의미하는 시그널들이 감지되고 있다. 다만 시그널과 건설 수주 확대 간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점(6M~12M)에서 올해 수주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 ″최선호주는 현대건설″ 1분기 수주 가이던스 달성률은 GS건설 33%, 현대건설 30%, HDC현대산업개발 23%, 삼성E&A 21%, 대우건설 20%, DL이앤씨 12%이다. 1분기 기준 GS건설과 현대건설의 수주 실적은 양호하며 2분기 실적 발표 내용 중 기업별 수주 달성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2025년 수주 가이던스와 기업별 지난 5년(2020~2024년) 평균 수주 실적 간 괴리율은 GS건설 3%, 현대건설 3%, HDC현대산업개발 22%, 삼성E&A 15%, 대우건설 14%, DL이앤씨 11% 등이다. 다만 HDC현대산업개발은 붕괴 사고 후 발생한 시공사 해지분, 대우건설, DL이앤씨는 2024년 부족했던
[IBK투자증권=오지훈 연구원] 7월 1일 현지 시간 Tradewinds는 부진한 LNG 업황으로 인해 LNGc 선가가 향후 250백만 달러 밑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은 230백만 달러를 기준으로 기타 장비를 포함하여 240백만 달러 수준으로 협상 중이다. 부진한 업황과 낮은 운임으로 인해 개별 선주들은 장기 용선 계약이 보장되지 않는 이상 발주를 하기 꺼려하는 분위기라 보도했다. 대형 LNGc와는 별개로 LNG 벙커링선 업황은 양호하며 향후 Exxon Mobil의 발주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 ◆ ″2026년에는 좋아집니다″ LNGc 운임이 약세인 이유는 중국의 LNG 수요 감소 때문이다. 중국의 LNG 수입은 산업 수요 감소, 온화한 겨울, 미국의 관세 등의 이유로 2025년 YTD –24% 감소했다. 유럽의 LNG 수요 증가가 중국의 수요 감소를 방어하며 글로벌 LNG 물동량은 전년 대비 감소를 면하고는 있다. 그러나 2025년 역대 최고로 많은 94척의 신규 LNGc가 인도 예정임에 따라 2025년은 LNGc 공급 과잉은 연간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 2026년에는 총 68MTPA의 신규 LNG 액화플랜트가
[유진투자증권=한병화 연구원] EMBER는 새로운 보고서 발간을 통해 글로벌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조합하면 24시간 전력 사용을 기존의 기저 발전인 석탄보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 지었다. 태양광 시스템과 배터리 제조원가의 급락이 가져온 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이 경제성을 갖추면서 극복된다면 이는 여타 기저발전원의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태양광과 바람은 무한하고 가격이 없어 연료의 가격에 의존하는 다른 에너지원이 가진 변동성이 없기 때문이다. ◆ ″제조원가의 급락이 가져온 혁명이 시작″ 2024년 글로벌 유틸리티 스케일 태양광 신규 설치량은 452GW였다. 이를 기저발전화 하기 위해 배터리 ESS 를 전체에 설치한다면 약 1,400GWh 이상이 필요하다. 지난해 글로벌 유틸리티 스케일 신규 설치량이 169GWh로 집계되었기 때문에 잠재수요의 약 12%만 설치된 것이다.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ESS의 설치비용이 동시에 낮아지면서 LCOE 가 2019년 대비 43%나 낮아진 상태라서 향후 수요 증가는 명확하다. 기저발전 역할을 하는 석탄 발전과 원전의 LCOE(균등화발전비용)는
[KB증권=이은택 연구원] 금융주 이익은 지난 2007년보다 4배나 늘었지만 주가는 그때보다 싸다. 왜냐하면 금융주 강세장은 ‘이익 성장′이 아닌 ′밸류에이션 재평가′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런 ′재평가′는 ′20년 주기′로 반복된다. 왜 ′20년 주기′일까. 그건 ′달러 사이클′이 ′20년 주기′이기 때문이다. 금융은 2025년 하반기 전망(5월 27일 하반기 전망)에서 유일하게 탑픽에 신규 편입된 업종이다. ◆ ″re-rating 타이밍을 잡는 것이 게임의 룰″ 금융을 추천하는 이유는 ′다른 탑픽(방산+원전)′과는 완전히 반대다. ′방산+원전′이 성장성에 대한 베팅이라면 ′금융′은 성장이 아니라 ′밸류에이션 재평가′에 대한 베팅이다. 대다수 금융주 주가는 2007년보다 낮다. 하지만 18년 동안 이익은 3~4배, 순자산은 4~5배 증가했다. 결국 금융주의 문제는 ′저성장′이 아니라 ′저평가′이며, ′저평가 해소′가 강세장의 열쇠이다. 장기 금융주 주가를 보면 금융주 강세장은 ′20년 주기′′로 나타난다(「한국 자본시장의 구조 개혁과 투자전략」, 하인환). 그렇다면 왜 ′20년 주기′일까. 이에 앞서 한국 증시의 상승 매커니즘을 보자. 한국 증시엔 ′달러
[하나증권=최정욱 연구원] 전주에도 은행주는 5.4% 상승해 코스피 상승률 4.1%를 초과 상승했다. 직전 고점(12월 초 비상계엄 사태) 수준을 뚫고 추가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 주가수익률(YTD) 기준으로도 22.7% 상승해 코스피를 10%포인트 넘게 초과 상승 중이다. 은행주는 5월 한 달은 11.9% 상승했는데 보험업종 상승률 9.9%보다는 높았지만 대선 이후 증시부양책 기대와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주가가 급등했던 증권업종 상승률 21.1%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었다. 전주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 전환했다. 미 법원이 트럼프 상호관세에 제동을 걸었지만 항소법원이 트럼프의 효력 정지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국채금리가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주간 고용지표 악화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결국 하락 마감했다. ◆ ″은행 평균 PBR 0.6배까지 상승 전망″ 전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40%로 한 주간 11bp 하락했고, 2년물 국채금리도 3.90%로 한 주 동안 9bp 하락했다. 국내 국채금리는 한은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금리 선반영과 불확실성 해소 인식 등으로 인하 발표 이후 오히려 반등해 10년물 국채금리는 2.79%로 한
[KB증권=이선화 연구원] 4월 주요 이커머스 GMV(Gross Merchandise Value)는 15조원으로 전년 대비 13.3% 증가,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네이버와 쿠팡의 GMV는 공휴일 부재로 소비 비수기인 4월에도 전월 대비 각각 2.5%, 2.4% 증가했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출시(안드로이드 3/12, iOS 3/19) 이후 경쟁이 심화되면서 첫구매/재구매 쿠폰(네이버), 멤버십 회원 추가 할인(쿠팡) 등의 혜택을 강화한 영향으로 추정한다. 그룹사에서 대규모 쇼핑 페스티벌을 진행한 SSG.COM과 이마트는 합산 GMV가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 C-커머스는 전월 진행한 행사의 높은 기저로 알리익스프레스의 GMV가 전월 대비 29.5% 감소했다. 카카오T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GMV를 달성했다. ◆ ″카카오T 역대 두 번째로 높은 GMV 달성″ SNS의 MAU(월간 활성 사용자)는 1위인 유튜브와 카카오톡 MAU 간의 격차가 161만명으로 3월 174만명 대비 축소됐다. 카카오톡의 MAU가 전월 대비 0.2% 감소하였으나 유튜브도 역성장 한 영향이다. 야외 활동의 증가에 따른 MAU 감소 속 필수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하나증권=김록호 연구원] 코스피는 개인이 2주 연속 순매도, 기관이 5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이 6주 만에 순매수 전환하며 0.5% 상승했다. 전기전자 대형주는 3종목 모두 하락 마감하며 지수대비 부진했다. LG전자[066570]의 주가 하락 폭은 1.4%로 가장 작았는데 관세 영향권에서도 무난한 2분기 가이던스와 PBR이 0.6배까지 하락해 있어 하방은 견고하다는 판단이다. LG이노텍[011070] 주가는 2.3% 하락했는데 기판소재와 전장부품의 선방으로 2분기 가이던스가 양호하게 제시되었다. LG이노텍 역시 주가는 많이 하락해 있어 추가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 판단한다. 삼성전기[009150] 주가 하락 폭이 큰 편이었는데 컨센서스 하회 우려 속에서도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2분기 가이던스가 기대치를 하회했고 패키지솔루션의 수익성이 예상 대비 저조해 연간 실적이 소폭 하향 조정된 것이 주가 하락의 요인으로 판단된다. ◆ ″글로벌 테크 업체들의 주가는 대체로 양호″ 코스닥은 기관이 3주 연속 순매도, 개인이 3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이 2주 연속 순매수한 가운데 1.1% 하락했다. 하나증권 커버리지 중소형주도 서울반도체[046890]
[NH투자증권=정연승 연구원] 중국 해운사 및 중국 조선소를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항만 수수료 정책이 발표됐다. 해당 정책은 10월 15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중국 기업이 소유 또는 통제하는 선박 또는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이 미국 항만에 입항할 경우, 항만 수수료가 부과된다. 중국 선사가 아닐 경우 이번 항만 수수료 정책은 연초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기존에 제시된 안보다는 완화됐다. 초안보다는 수수료 부문에서 완화되면서 한국, 일본산 선박을 보유한 비(非) 중국 선사들은 항만 수수료 회피가 가능하다. 중국 선사가 대형 선박을 운항할 경우 수수료 부과 규모가 가장 크다. 중국 국적 선박 범위가 확대되어 중국 선사 외에도 리스사, 정책 금융 관련 선박 모두가 적용되는데 적용 대상은 더 확대되었고 우회는 차단됐다. 중국 해운, 조선을 포괄적으로 견제하는 고도화된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순 수수료 부과 규모 축소로 평가 절하해서는 안된다. ◆ ″포괄적 규제로 중국 견제 고도화″ 미국 정부는 이번 정책과 지난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선박 발주를 유도하고 조선업 생태계 구축 의지를 보여줬다. 동시에 중국 조선소로의 발주도 견제한다. 미국 내에서 상선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