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UP=정도현 기자]전 국민의 약 99%가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해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2일 오후 6시 1차 소비쿠폰 신청을 마감한 결과 쿠폰 신청자는 모두 5천7만8천938명으로, 전체 지급 대상자(5천60만7천67명)의 98.96%였다. 신청자에게는 모두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 신청 종류별로 보면 신용·체크카드가 3천464만건(69.2%), 지역사랑상품권 930만건(18.6%), 선불카드 615만건(12.3%)이었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전남이 99.32%로 지급률이 가장 높았던 반면 서울은 98.45%로 가장 낮았다. 이달 7일 기준으로 신용·체크카드로 지급한 6조60억원 중 5조1천356억원(85.5%)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정부는 경기 진작,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최소 15만∼최대 45만원의 1차 소비쿠폰을 신청받아 지급했다. 이달 22일부터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 1인당 10만원의 2차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1·2차 소비쿠폰의 사용기한은 모두 11월 30일까지다. 기한 내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소멸된다.
[팩트UP=이세라 기자]잡코리아(대표이사 윤현준)는 최근 기업 채용담당자 3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채용동향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인사담당자의 57.4%가 올 하반기 채용 과정에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AI 활용 분야는 ▲인재추천(31.3%) ▲서류평가 자동화(29.7%) ▲일정 조율 및 Q&A 챗봇(17.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대한 지원서류 속에서 적합한 인재를 보다 신속하게 선별하고,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업무를 효율화하려는 목적과 맞닿아 있다. 실제 인사담당자들이 체감하는 최근 채용환경 변화로는 ▲사내 인재풀 구축·상시채용 확대(18.7%) ▲채용 과정 복잡성 증가(16.1%) ▲직무역량 외 인성평가 중요도 상승(15.8%)이 꼽혔다. 복잡성이 커지는 채용환경 속에서 AI 기술이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과정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원자 모집(39.7%) ▲적합 인재 선별(29.1%)을 꼽았다. 상반기 채용에서 실제 AI 서비스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담당자(32.8%) 역시 ‘인재추천(34.9%)’과 ‘서류평가 자동화(17.8%)’
[팩트UP=이세라 기자]지역 축제와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가을철을 맞아 식중독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계절별 식중독 발생 건수를 분석한 결과 가을철(9~11월) 발생 건수는 평균 64건으로 전체의 24%를 차지해 여름철(99건, 37%)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봄은 56건(21%), 겨울은 50건(19%)에 불과했다. 올해 가을에도 지역축제와 행사가 500여 회 예정돼 있어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행사장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특히 일교차가 커지고 낮 기온이 오르는 시기에는 음식이 상온에 오래 방치되기 쉽고 부주의한 재료 관리·개인 위생이 식중독 위험을 높인다. 식약처는 소비자에게 △HACCP(해썹) 인증 제품이나 위생등급 지정 음식점 이용 △대량 주문 대신 소량·분산 구매 △섭취 전 용기·포장 상태 확인 △보관 시 0~5℃ 냉장 유지 등을 권고했다. 음식점 등 영업자에게는 재료를 당일 구매·소비하고 보관 온도를 철저히 지킬 것을 주문했다. 육류는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해야 하며 달걀은 다른 식재료와 구분해 보관하고 손 세척을
[팩트UP=정도현 기자]취업준비생 10명 중 4명은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으며, 연간 약 450만원을 지출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잡코리아 콘텐츠LAB이 취업준비생 48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은 취업준비생은 42.9%로 집계됐다. 지난 2021년 동일한 조사 당시 31.6%보다 10% 넘게 늘어난 것이다. 취업 사교육 경험이 있는 취업준비생들은 월 평균 38만원, 연간 약 455만원을 지출했다. 4년 전 연간 약 218만원이었던 것에 대비해 109% 증가한 것이다. 취업 사교육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전공 자격증 취득(64.9%·복수응답)'이었다. 좁아진 취업 관문 속에서 자격증을 통해 전문 역량을 증명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 자격증 외에는 토익·오픽과 같은 '영어 점수와 응시료'(56.7%)가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고 '비전공분야 자격증'(37%), 'IT·컴퓨터 활용 전문지식 습득'(32.7%) 등이 뒤를 이었다. 설문 참여자의 10명 중 7명 이상(71.1%)은 취업 준비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고, 졸업 이후 구직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취준생은 73.8%에 달한 것으로 조사
[팩트UP=정도현 기자]내수침체 장기화,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의 영향으로 올해 하반기 채용시장이 어두울 전망이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0곳 중 6곳(62.8%)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중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38.0% ‣채용이 없는 기업은 24.8%였다. 올해 하반기 채용 ‘없음’이라고 응답한 기업(24.8%)은 작년 하반기(17.5%)보다 7.3%p 증가했고, 채용계획 ‘미정’이라고 응답한 기업(38.0%)은 작년 하반기(40.0%)보다 2.0%p 감소했다. 한편,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37.2%) 중 전년 대비 채용 규모를 ‣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37.8% ‣ 줄이겠다는 기업은 37.8% ‣ 늘리겠다는 기업은 24.4%로 나타났다. 2024년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37.8%)은 지난해 하반기(17.6%)에 비해 20.2%p 늘었고 ‣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
[팩트UP=정도현 기자]소형 식기세척기 제품의 작동 시간과 연간 전기 요금 차이가 최대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삼성전자와 쿠쿠전자 등의 소형 식기세척기(3·6인용) 6개 제품의 품질을 시험 평가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밥알과 커피 등 음식물을 바르고 두 시간 이상 상온에 둔 식기를 닦는 세척 시험에서 6개 제품 모두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건조 성능은 열풍과 송풍, 자연 건조 등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났다. 열풍 방식을 채택한 쉐프본(WQP6-8204V1·WQP4-6201)과 미닉스(MNDW-110G) 세 개 제품의 건조 성능은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송풍 방식인 쿠쿠전자의 두 개 제품(CDW-CS0620TGPE·CDW-A0310TW)과 자연 건조 방식인 삼성전자 제품((DW30CB300CW0)은 건조 성능이 양호했다. 연간 전기 요금 차이는 최대 두 배 수준(2만5천∼4만7천원)이었다. 연간 전기 요금은 쿠쿠전자 6인용·3인용 제품이 각각 2만7천원, 2만5천원이지만 쉐프본의 6인용·3인용 제품은 각각 4만7천원, 4만2천원이다. 연간 전기 요금은 제품 용량보다 건조 방식에 따라 차이가 컸다. 표준 코스 작동 시간은 1시간 9
[팩트UP=정도현 기자]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어 SKT에 과징금 1,348억여 원을 부과한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 이상(71.9%, 전혀 51.0% + 별로 20.8%)이 이번 과징금 규모가 ‘과도하지 않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과도하다’라는 의견은 19.1%(매우 과도하다 5.9% + 약간 과도하다 13.2%)에 그쳤다. 세부특성별로 18~29세(83.0%), 30대(83.9%), 40대(81.0%)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과징금 규모가 과도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과도하다’라는 응답은 70세 이상에서 38.6%로 다른 연령대 대비 높은 비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한 결과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SKT의 유감 표명에 대해서는 10명 중 7명 이상인 71.8%(매우 잘 못 함 41.2% + 잘못한 편 30.6%)가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 이번 고객 보상 조치에 대해서도 ‘부족하다’는 답변이 72.9%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 이러한 보상이 고객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64.3%)이 다수로 나타났다. ▲ 정보보호 강화조치 및 향후 5년 이내 글로
[팩트UP=이세라 기자] 삼성전자의 약 4조원 규모 장비 투자가 본격화된다. 미국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 투자를 재개한다는 게 그 신호탄이다. 삼성전자가 투자를 본격화하는 이유는 테슬라 수주 건이 트리거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동안 중단의 원인이 됐고 발목을 잡고 있던 고객사 확보 문제가 해소된 것도 가동 준비에 나설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삼성전자의 이번 투자 행보가 성공을 거둘지 여부에 관심을 나타내는 분위기다. ◆ 포인트 하나…이재용 회장의 중대 전환점 될까 지난해 9월 인력을 철수시키고 가동 시점을 늦추기로 결정한지 1년여 만에 멈췄던 시계가 돌아가기 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9월부터 반도체(DS) 부문에서 인력을 파견, 내년 가동 예정인 테일러 공장에 파운드리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했다. 예컨대 9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엔지니어들을 투입하는 한편 파운드리 라인 구축에 필요한 설비도 발주 중에 있다. 아울러 테일러 파운드리를 담당할 인사도 내정돼 있다. 테일러 가동이 본격화되는 만큼 새로운 법인장을 내부 선임했다는 후문이다. 사실 지금까지는
[SK증권=한동희 연구원] AI 사이클이 견인하는 스토리지 수요의 성격은 데이터의 누적과 데이터 계층의 중요성의 변화에서 비롯된다고 판단한다. AI 사이클에서의 지속적인 학습 및 추론은 데이터의 총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누적시킨다. 신규 생성되는 데이터와 가공된 데이터 및 구버전, 신버전 데이터가 쌓이며 EB(엑사바이트) 단위 수요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는 HDD가 낮은 용량 당 가격과 대용량 단품의 강점을 바탕으로 Cold data 계층에서 최저 비용의 대용량 스토리지 시장을 주도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HDD 수요 강세 vs. 낮은 공급 탄력성” 또한 AI 사이클은 과거 ‘보관’ 목적의 Cold data 중심의 전통 사이클과 달리 데이터의 ‘반복 사용’이 중요하다. AI 학습 및 추론은 대용량 데이터를 반복 재사용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는 Hot/Warm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AI 설비투자 강세 지속과 Cold data의 누적 지속, HDD의 용량 당 가격 우위와 높은 데이터 저장 신뢰성 등을 감안하면 HDD 수요 강세는 자연스럽고, HDD의 낮은 공급 탄력성을 감안하면 수급 상황은 지속 타이트 할 것으로 전망한다. 사실
[팩트UP=정도현 기자]정부가 세법 개정안을 통해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절반 가까운 국민이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2명에게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 기준을 물은 결과 응답자 47%가 '종목당 50억원 이상 현행 유지'라고 답했다. '종목당 10억원으로 기준 변경'이라고 답한 비율은 27%, '모름'이라고 답하거나 응답을 거절한 비율은 26%로 각각 집계됐다. 주식을 보유한 응답자 중에서는 64%가 현행 유지를, 26%가 10억원으로 변경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을 종목당 10억원 이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국내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40%가 '부정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긍정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20%, '영향이 없을 것'은 16%로 나타났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7월 양도세 부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후 민주당은 여론 등을 이유로 현행 유지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부에 전달했으나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