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김승준 연구원] 수익률은 건설업이 코스피 대비 0.2%포인트 하회했다. 기관과 연기금이 매수, 외인이 매도했다. 미국 경기 지표 악화 등 매크로 영향과 일부 건설주의 실적 부진으로 주가가 다소 부진했다. 시멘트주는 댐 발표로 주가가 상승했다. 주요 지표로 전국 매매수급 동향은 94.06으로 7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0.23포인트). 전국 매매가는 7주 연속 상승(+0.07%)했으며 전세가는 +0.05%로 26주 연속 상승했다. ◆ ″주택 지표와 정책의 변화 등 이슈″ 수도권 매매가는 11주 연속 상승(+0.16%)했으며, 전세가는 58주 연속 상승(+0.13%)했다. 서울 매매가격은 19주 연속 상승(+0.28%), 전세가는 63주 연속 상승(+0.16%)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지방광역시(-0.04%)와 기타지방(-0.02%)의 매매가는 하락했으며, 전세가격도 10주 연속 동반 하락했다(각각 -0.02%). 여전히 수도권 상승, 지방 하락은 이어지고 있다. 한주 간 청약홈에서의 청약 결과는 5건이다(경기 평택, 강원 원주/춘천, 서울 서초, 경북 성주). 서울 서초, 춘천, 경기 평택은 미달이 없이 마감되었다. 하지만 강원 원주와 경북 성
[NH투자증권=이화정 연구원] 현재 K팝은 과도기이다. 기존 아티스트의 대중 인지도가 높아지자 코어팬 일부가 이탈, 신인 아티스트의 팬덤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세대교체는 산업 특성상 흔한 일이다. 하지만 엔터주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이후 처음으로 겪는 상황인 탓에, 투자자들은 여전히 산업의 성장성이 남아있는지를 의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엔터 4사 2025년 평균 PER은 15.0배이다. 2025년 이익 성장률을 감안하면 상당히 매력적인 수준이다. 이에 현재 K팝의 과도기가 어디쯤 왔는지 점검해 봤다. ◆ ″음원, 로마에선 로마법을 따르자″ 험난한 상반기였다. 연이은 초동 판매량 부진으로 산업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민희진 사태로 산업 특유의 휴먼 리스크까지 재차 확인됐다. 펀더멘털 우려에 소모적인 노이즈까지 발생한 만큼 투자자 피로도는 극에 달했다. 이에 현재 산업에 대한 시장 관심도 역시 낮아진 상태로 연초 이후 엔터 4사 주가는 무려 평균 29%나 하락했다. 딱히 무난했던 시기가 없었다지만 올해는 유독 쉽지 않다. 산업이 과도기에 온 탓이다. 최근 기존 아티스트들이 유독 덜 K팝스러운(=대중 어필이 가능한) 음악을 우후죽순 발매하
[NH투자증권=정연승 연구원] BDI 지수는 1902포인트로 4.8% 하락했다. 중국 3중전회 실망감 및 대형선 위주의 운임 하락으로 전체 지수 하락한 것으로 분석한다. 중국 정부는 신규 부양책보다 부동산 구조조정에 집중 계획인데 탱커의 경우 초대형 원유 운반선(VLCC)의 운임 반등이 나타났으나 나머지 선형은 소폭 하락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 대비 3.6% 하락하면서 하락 폭이 확대했는데 미주 서안, 남미, 중동에서 선복량 증가, 소석률 하락으로 운임 하락세 기록했고 성수기 조기 종료 우려가 존재한다. ◆ ″초대형 원유 운반선 운임 활동성 증가에 주목″ 벌크선의 경우 발틱운임(BDI) 지수는 전주대비 4.8% 하락한 1902포인트를 기록했다. Cape는 9.8% 하락하면서 지수 하락 주도했으며 케이프사이즈(Capesize)의 경우 주중 호주 중심으로 운임 하락이 나타나면서 전체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파나맥스(Panamax)의 경우 소폭 상승 흐름을 보였다. 하위 선형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면서 화물 유입이 발생한 영향인데 소형선의 경우 미국 곡물 관련 수요로 시황 제한적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국 3중전회에서 기대했던 경제 부양책은
[SK증권=설용진 연구원] 2024년 2분기 은행업종의 탑라인은 1분기와 비슷하게 무난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자이익의 경우 경쟁 심화 등 요인으로 마진 하락 추세가 일부 나타나겠지만 예상 대비 견조한 대출 성장 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이익 규모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비이자이익의 경우에도 신용카드⸱중개수수료(Brokerage) 등에 기반한 견조한 수수료이익, 금리 하락 등에 따른 매매평가익 개선 등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이 기대된다. ◆ ″전반적으로 무난한 탑라인 예상″ 궁극적으로는 대손비용이 2분기 실적을 좌우할 전망이다. 회사별 편차는 어느 정도 존재하겠지만 공통적으로 기업 신용등급 조정 등에 따른 추가 충당금,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재분류에 따른 중⸱후순위, 브릿지론 익스포저(지방은행)나 책임준공형 신탁(시중은행) 등 관련 충당금이 일정 수준 발생할 전망이다. 실적 측면의 불확실성을 감안했을 때 주주 환원이 핵심 모멘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주주 환원의 기준인 자본비율은 환율 상승 및 성장 확대 등 영향으로 전분기와 유사하거나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전망한다. 현재 Target 자본비율을 감안했을 때 2분기 실적 발표 시점에는 KB금융
[KB증권=김동원 연구원] 6월 21일 외신보도(WSJ, CNBC)에 따르면 애플은 올 하반기 AI 기능이 탑재된 아이폰16의 중국 출시를 위해 바이두, 알리바바, 바이촨AI 등 중국 AI 업체와 현지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라고 전해졌다. 따라서 애플 인텔리전스가 탑재된 아이폰16이 중국에 출시되기 위해서 애플은 중국에 위치한 서버를 이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3년 전부터 중국 데이터안보법 시행에 따라 예견된 사항으로 하반기 아이폰16 출시에 새로운 돌발 이슈가 되지 않을 전망이다. ◆ ″새로운 돌발 이슈 아닌 이미 예견됐던 일″ 지난 2021년 말 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거래소 개소를 시작한 중국 정부는 16개 부처와 공동으로 데이터 보안 산업에 관한 발전 촉진법(데이터 안보법)을 시행하며 해외 AI 업체의 시장 진입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애플은 중국 데이터 안보법을 고려한 아이폰16 중국 출시 전략을 취할 전망이다. 한편 중국에서는 오픈AI 챗GPT, 구글 제미나이 AI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삼성의 경우 중국 현지 업체인 바이두, 메이투와 협력해 갤럭시S24 중국 출시에 성공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애플도 삼성과 유사
[유진투자증권=이재일 연구원] 지난 6월 15일, 현대차 인도법인은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에 기업 공개를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청서에는 현대차가 보유한 인도법인 주식 17.5%를 시장에 공개 매각할 계획이 담겨 있다. 세부 사항은 아직 미정이나 IPO를 통한 현대차의 총 조달 규모는 약 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됨에 따라 인도 증시 최대 규모 IPO였던 Life Insurance의 24억60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시장 가치는 아직 미지수″ 30억 달러 규모의 IPO를 역산하면 시가총액은 약 171억 달러(23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초기 언급됐던 30~40조원 대비로는 작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적정 시장가치 대비 할인해 IPO를 진행하는 게 드문 일은 아니다. 또한 현재 언급되고 있는 조달 규모 역시 추정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장 가치가 그 이상이 될지 그 이하가 될지 아직은 미지수이다. 현대차 인도 법인의 시가총액 23조7000억원 가정 시, 현대차 주가는 현재 주가 대비 약 18.8%(약 10조5000억원)의 추가 상승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 자동차 시장 1위 메이커인 마루티 스즈키(MSIL.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정제마진은 WoW +1.3 달러로 소폭 반등했다. 석유화학은 납사가격 약세에도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별로는 LDPE +4%, 천연고무 +3%, SBR +2%가 눈에 띈다. 특히 천연고무 가격은 전고점 돌파하며 약 3년 이래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업종 최선호주로는 금호석유[011780], KCC[002380], LG화학[051910], 유니드[014830], 효성첨단소재[298050] 등을 꼽는다. ◆ ″해당 태양광 업체들 미국 내 증설 계획 마련″ 미국의 반덤핑 및 상계관세(AD/CVD) 유예가 6월 6일로 만료됨에 따라 동남아 4개국에서의 중국업체의 생산 중단이 목격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인룽기 친환경 에너지 기술(ONGi Green Energy Technology, 이하 룽기)은 최근 1~2주 사이 베트남에서 5개 생산라인을 중단한 이후 말레이시아 공장 또한 가동중단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회사는 연초 이후 가격 급락과 무역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공장의 생산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라고 밝혔고, 트리나 솔라(Trina Solar)는 태국과 베트남에서 생산시설 폐쇄 중인
[SK증권=한동희 연구원] 오는 3분기부터 D램 3사의 2025년 실적 가시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일반 수요의 더딘 회복에도 불구하고 AI 수요 강세에 따른 북미 클라우드제공사업자(Cloud Service Provider)들의 CapEx(자본적 지출)에 대한 톤업 지속으로 TSMC의 12m Fwd. EPS(주당순이익)는 역사적 고점을 경신했고 SK하이닉스 역시 빠르게 접근 중인 상황이다. AI 수요 강세 및 이번 AI 사이클에서의 HBM에 대한 중요성과 기술 중심의 경쟁, 기술 난이도 급증에 따른 수율 저하, 제한적 전공정 투자 속 Commodity capa loss(원자재상품 생산능력 손실)에 따른 가격 반등세를 감안하면 2025년 HBM 계약은 3분기 중 마무리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한다. ◆ ″분기별 메모리 증익 지속″ HBM 및 원자재상품 업황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국면이라고 판단한다. AI 강세 지속에서 HBM 공급 부족 상황과 단기적 SK하이닉스 및 마이크론의 추가 대응 여력 제한을 감안하면 삼성전자의 HBM 시장 진입 자체의 명분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원자재상품 업황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HBM 시장 진입 본격화는
[유진투자증권=한병화 연구원] 미국과 유럽의 올 1~4월 BEV 판매 증가는 전년 대비 6%에 그친 반면 하이브리드는 각 37%, 22% 증가했다. 절대 판매대 수도 미국에서는 43만9000대로 BEV 35만8000대를 추월했고 유럽에서는 132만8000대로 BEV(59만3000만대)와의 격차를 더 확대시키고 있다.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하이브리드에 대한 강한 수요에 자극되어 신규 모델 도입을 늘리고 있어서 당분간 전기차대비 우월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 ″하이브리드의 약진은 미국⸱유럽 공통 사항″ 전기차에 대한 뜨거운 반응이 미국과 유럽에서 낮아지고 있는 이유는 충전 인프라 부족과 관리 부실, 중고 전기차의 높은 감가율, 전기차에 대해 늘어나고 있는 신규 세금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다가 결국 하이브리드로 발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 추세를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에 대한 정책 규제, 대중화 전기차 모델의 출시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EU의 강력한 유로7 도입 연기와 미국 바이든 정부의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비중 확대 정책에서 보듯이 당분간 하이브리드의 기세를 저지할 정책 모멘텀이 보이지
[NH투자증권=정지윤 연구원] 화장품섹터는 하반기 수출중심의 성장가도를 달릴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해 매출 기대치 상향과 밸류에이션 프리미엄도 지속될 것으로 본다. 하반기 실적 성장을 이끌 부문은 단연 수출이다. 한국화장품 산업은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등 非중화권으로의 수출이 건강하게 지속 확대되고 있다. 최근 3년간 중국, 홍콩을 제외한 非중화권 수출금액 비중은 2022년: 49%에서 2023년 61%로, 2024년 4월 누계 66%를 달성했다. ◆ ″화장품업종, 건강한 글로벌 수출 모멘텀″ 특히 미국向 스킨케어 카테고리 수출금액의 고성장이 눈에 띈다. 2024년 4월 누계 99% 성장했고, 국가비중도 19% 상승했다. 실제 Amazon.com 세럼 카테고리 상위 랭킹 내 한국인 디브랜드(코스알엑스, 조선미녀, 아누아, 믹순, 스킨1004, 구달)가 다수 포진하고 있다. 따라서 2024년 하반기에도 수출 중심의 매출 성장이 업종 전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지지할 것으로 판단한다. K-인디브랜드 강세로 2023년 한국화장품 책임 판매업자 수는 3만1524개로 최근 3개년 CAGR+17% 성장한 모습이다. 이는 곧 제조업체당 생산하는 브랜드와 품목 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