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UP=권소희 기자] 6월 초, 전자업계에 이상한 소문이 돌았다. 삼성전자가 초거대 AI 개발을 작업 중에 있으며 이 회사가 보유한 GPU 자원을 모두 AI 개발에 투입했다는 게 소문의 주요 골자였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의 이 같은 행보는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참석한 최고경영진 회의에서 결정난 것이라는 얘기도 회자됐다. 이러한 소문을 접한 업계 안팎에서는 사실 여부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서 그 배경 파악에도 분주한 모습이다. ◆협업이나 AI 도입은 ‘NO’, 자체개발은 ‘YES’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초 삼성리서치 주도로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 AI(Artificial Intelligence) 개발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개발은 이재용 회장이 참석한 최고경영진 회의에서 “빠른 시일 내에 자체 개발하라”는 결론이 난 것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핵심 기술 데이터 유출 문제 외에도 AI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해외 빅테크 기업에 대한 의존이 지나치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사실 그동안 그룹 경영진 회의에서는 오픈AI‧MS‧구글을 비롯해 국내 네이버 등 다양한 기업과 협업
[팩트UP=권소희 기자] 지난달 중순부터 한익스프레스에 대해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에서 세무조사를 진행 중이라는 소문이 나돌았다. 조사4국은 사주나 법인의 비자금 조성 및 탈루 혐의 등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를 전담하는 부서로 ‘저승사자’로 통한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 같은 소문이 나돌면서 이번 세무조사는 ‘한화家’를 겨냥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면 이 같은 관측은 왜 나온 것일까. ▲5월 13일 특별세무조사를 단행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한익스프레스에 대해 국세청이 특별세무조사를 단행한 것은 지난 5월 13일이다. 이날 조사4국은 서울시 서초구 한익스프레스 본사와 경기도 화성시 본점에 파견해 세무·회계 자료들을 쓸어왔다. 이들 자료는 세무조사를 필요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이번 세무조사는 한화그룹이 이 회사에 일감을 몰아줘 사익을 편취하도록 했다는 의혹 등에 따라 진행됐다. 반면 한익스프레스는 이번 세무조사의 경우 정기적인 세무조사일 뿐이라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한익스프레스는 지난 1979년 5월 한화 소속 계열사로 설립된 회사다. 하지만 1989년 최대주주였던 한화가 보유주식(33.3%)을 전량 매각하면서 그룹에서 계열 분리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