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주민우 연구원] 지난 11월은 미국 선거 결과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며 큰 변동성을 보였다. 다수 의원 확보(Redwave)가 현실화되며 구매세액공제(최대 $7,500)와 생산세액공제(AMPC) 폐지 가능성이 주가에 일부 반영됐다. 하지만 IRA 법안 폐지 현실성 낮으며 수정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공화당이 상/하원에서 승리했으나 압도적으로 이기지 못했기 때이다. 하원의 경우 공화당이 7석 차이로 이긴 것으로 보이나, IRA 폐지에 반대하는 공화당 하원의원들 중 15명이 재선에 성공하며 과반수 확보가 어려워 보인다. 이것이 수정을 통한 보조금 총액 감소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이다. 하원의 경우 공화당이 7석 차이로 이긴 것으로 보이나, IRA 폐지에 반대하는 공화당 하원의원들 중 15명이 재선에 성공하며 과반수 확보가 어려워 보인다. 이것이 수정을 통한 보조금 총액 감소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이다. ◆ ″국내 업체들의 멀티플 디레이팅 불가피″ 지난 2017년 오바마케어 폐지 시도 사례를 참고하면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하원 표결이 5월에 이루어졌고 상원 표결은 7월에나 진행된다. 2025년 IRA 폐지를 위한 상/하원 표결 역시
[유진투자증권=황성현 연구원] 트럼프 2.0 시대 개막으로 미국 석유, 가스 산업의 지형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석유, 가스 시추 확대로 미국의 에너지 수출 증가가 기대되나 기존 메이저업체들의 경영전략 방향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 ″석유 제품 가격 하락유가 비해 더딜 것″ 현재 미국 정유사의 정제설비는 과거에 건설된 설비들로 중동, 베네수엘라산 등의 고유황유를 처리하도록 고도화 비율(평균 40~50%)이 높게 설계되어 있다. 셰일오일 생산을 확대하여도 이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신규 투자가 필수적이다. 현재 정제설비 평균 가동률이 90%를 초과하고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은 크지 않으므로 미국 석유 생산량이 증가하면 원유 해외 수출 확대, 유가 하락의 흐름이 예상된다. 현재 기준으로는 정제설비 증설 계획이 0.5% 이하로 적은 상황으로 석유 제품들의 가격 하락은 유가에 비해 더디고 크랙 스프레드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천연가스는 2025년 이후 집중될 터미널 증설(5000만톤)로 유럽向 수출도 확대되나 전력 수요 증가로 내수 사용량도 증가하며 가격 강세가 전망된다. 향후 노후 석탄 발전소를 대체하는 수요뿐만 아니라 고온가스로 SMR 보급으로
[유안타증권=장윤석 연구원] 2025년 건설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Overweight(과중추천)을 제시한다. 2024년 건설업종에 대한 우려 요인으로 작용 중인 기대 이하의 원가율 개선 속도(C), 주택 건축 인허가 지표 부진에 따른 양적성장 가시성 저하(Q),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업황 개선 기대감 약화(P)가 완화 조짐을 나타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원가율 개선의 조짐″ 2024년 HDC현대산업개발[294870]과 GS건설[006360] 손익에서 확인된 원가율 개선이 2025년 타 건설사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실적 눈높이 상향과 그간 디레이팅 되었던 밸류에이션의 정상화를 기대한다. 서울에서 회복 전환한 인허가 지표와 주택 가격의 상방 압력은 수주, 분양 측면에서 건설사에게 우호적인 영업환경을 전개할 전망이다. 건설업 특성상 제품 표준화로 인해 건설사들 원가구조가 유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은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이 2024년 실현한 원가율 개선은 발현 강도와 시점의 차이일 뿐 2025년 하반기에서 2026년으로 갈수록 업계 전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유안타증권에서는 원가율 하향에 따른 이익 회복 및 기업가치 상승 가시성이
[하나증권=김홍식 연구원] 2025년도엔 연결 기준 통신 3사 영업이익 합계는 2024년 대비 99% 증가가 예상된다. KT 기저 효과 때문이다. KT 2024년 4분기 명퇴금 반영을 제외한 2025년 본사 영업이익 기준으로도 3사 합산 기준 2024년 대비 17% 증가한 4만2366억원이 예상된다. 아무래도 KT의 인건비 절감 효과가 절대적이다. KT의 인원 절감 효과를 제외한다고 가정하면 2025년 3사 합산 기준 본사 영업이익 합계는 2024년 수준이 예상된다. ◆ ″KT 2025년 실적 크게 호전될 전망″ 2025년 가장 우수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단연 KT이다. 연간 3500억원에 달하는 인건비 감소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1조2000억원 수준이었던 KT의 본사 영업이익은 1조8000억원 수준으로 퀀텀 점프가 예상된다. LGU+ 역시 2025년에는 오랜만에 연결 영업이익이 증가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영업전산시스템 회계 반영 효과 및 서비스매출액 추이를 감안할 때 그렇다. 2023~2024년 홀로 이익 성장을 기록했던 SKT는 2025년 일시적인 이익 정체 구간 진입이 예상된다. 기저가 달라진 측면이 강하다. 이러한 이유로 20
[KB증권=이창민 연구원] 2차전지 소재 산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당장 펀더멘털의 개선이 눈으로 확인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올해 연말까지 지속될 전방 수요 부진은 2025년 상반기 들어 점진적 회복세로 전환되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커버리지 2차전지 소재 6개사의 2025년 연결기준 합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05% 개선(4070억원→2조1000억원)될 것으로 추정된다. 전방 수요 회복으로 가동률이 개선되면서 이에 따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 ″2025년 EV 배터리 수요 전년대비 +19% 전망″ 2025년 전기차 출하량 1949만대(전년대비 +13%, 침투율 21.3%)를 전망한다. 전기차용 2차전지 수요는 2025년 1076GWh, 2026년 1225GWh를 거쳐 2030년 3923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의 대당 배터리 탑재량은 BEV 기준 2024년 74kWh에서 2030년 90kWh로 개선될 전망이다. 추정에 있어 중점적으로 고려한 사항은 2025년부터 강화되는 EU의 CO2 배출 규제와 이에 따른 전기차 밀어내기, 금리 인하로 진작될 소비심
[NH투자증권=정연승 연구원] 미국 대형항공사인 United Airlines, Delta Airlines 등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 상승 폭 확대되는 양상인데 대형 항공사들의 주가 강세 요인은 크게 5가지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첫째는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연료비 부담 완화이고, 둘째는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4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 제공이며 셋째는 프리미엄 수요 확장에 따른 예상보다 양호한 운임 추이이다. ◆ ″5가지의 주가 강세 요인″ 또한 넷째는 보잉의 파업에 따른 기재 도입 지연과 저비용항공사인 Spirit Airlines 파산 우려로 인한 공급 감소 기대감과 국내선 운임 경쟁 강도 축소이다. 특히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선에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아울러 다섯째는 기업별로 주주환원정책 재개 또는 강화(ex, United Airlines는 자사주 매입 재개)를 꼽을 수 있다. 미국 항공사들의 주가 강세 요인 중 일부 요인은 미국 항공사에게만 국한된 요인도 있다. 그러나 연료비 부담 완화, 프리미엄 수요 확대와 이로 인한 운임 강세 장기화 움직임은 국내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에도 동일
[SK증권=한동희 연구원] 다른 사이클에는 다른 주가 논리가 필요하다. 메모리 주가 Peak-out 의 핵심 지표로 작용해왔던 한국 주요 메모리 수출액 전년 대비 성장률은 7월 고점 형성 이후 체감하고 있고, 메모리 실적과 높은 동행성을 나타내는 ISM제조업 PMI 지수 역시 7월 급락 이후 부진한 상황이다. 다만 이번 사이클에서 ISM제조업 PMI 지수와 메모리 실적은 동행하지 않고 있고, 성장률 체감에 따른 주가 Peak-out 논리는 이후의 대세 감익 구간 시작이라는 과거 B2C 원자재(Commodity) 사이클에서의 경험에 근거하고 있다. AI 사이클에서의 이익 트렌드가 다르다면 주가 논리도 달라져야 한다. ◆ ″다른 사이클 다른 논리″ AI 사이클에서의 메모리 업계의 이익 방어력이 과소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한다. 세트 수요 부진 지속으로 원자재는 재고 조정 가능성이 높아 모멘텀이 둔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반영해 2025년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의 연결 영업이익을 각각 50조원, 35조원으로 기존 대비 24%, 14% 하향 조정한다. 다만 AI CapEx 강세 속 HBM 증설 및 12단 시장 개화, HBM4에서의
[KB증권=이선화 연구원] 게임스컴 2024에서 한국 게임사인 크래프톤(인조이, 다크앤다커 모바일, PUBG), 펄어비스(붉은사막), 넥슨(네오플 개발 더 퍼스트 버서커: 카잔), 카카오게임즈(오션드라이브 스튜디오 인디게임 3종: 로스트 아이돌론스: 위선의 마녀, 섹션 13, 갓 세이브 버밍엄)가 B2C 시연회를 진행하고 하이브IM(액션스퀘어 산하 스튜디오HG 개발 던전 스토커즈)이 B2B 부스를 마련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한국 기업이 참여했다. 이처럼 높아진 한국 게임사들의 위상에도 불구하고 주요 기업들의 주가는 게임스컴 2024 이후 하락했다. 과도한 기대감도 문제지만 그간 박람회에서의 호평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하지 못했던 탓도 있다. ◆ ″플랫폼 확장 기대″ 펄어비스의 ′붉은사막′이 Best Visuals, Most Epic 2개 부문, 크래프톤의 ′인조이′가 Most Entertaining, 넥슨의 ′더 퍼스트 버서커: 카잔′이 Best Sony Playstation Game에서 수상 후보로 선정됐으나 아쉽게도 수상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수상 여부보다는 한국 게임사들의 글로벌 매출 증가와 플랫폼/IP 확장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하나증권=최정욱 연구원] 전주 은행주는 1.9% 하락해 KOSPI 상승률 1.2% 대비 다시 초과하락세를 시현했다. 펀더멘털상 특이 이슈는 없던 가운데 JP모건이 바클레이스 주최 컨퍼런스에서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우려 등으로 내년 순이자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JP모건 주가가 당일 5.2% 급락한 점이 국내 은행주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초 이후 은행주가 KOSPI를 40%포인트 이상 초과 상승한 상황에서 상기 요인이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의 차익실현 욕구를 자극한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국내 은행주는 주후반 반등에 성공해 낙폭을 상당 부분 만회하는 모습이었다. ◆ ″외국인, 신한지주를 순매수 중″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지속했다. 현지시간 18일(한국시간 19일 새벽) 예정된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빅컷(50bp 인하)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빅컷 확률은 67%까지 상승했고 대선을 앞둔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파월에게 75bp 인하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18일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64%로 9일 이후 8bp 하락했고, 2년물 국채금리도 3.61%로 동기간 4bp 추가 하락했다. 한국의
[NH투자증권=한승현 연구원] 2021년 이후 글로벌 헬스케어 지수는 금리 인상에 따라 전체 시장 대비 언더퍼폼을 지속해왔다. 다만 올해 7~8월 전체 시장 조정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헬스케어 지수는 금리 인하 기대감 덕분에 시장 대비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시, 대형주 주가 견조세 부적으로 대형주 중심의 S&P500 헬스케어, NBI지수와 바이오텍 EFF인 XBI의 연중YTD 수익률은 약 10% 초중반으로 유사한 수준이다. 다만 7~8월 시장 조정 당시 S&P500 헬스케어 및 NBI는 경기 침체 방어주 성격 부각되며 대형 헬스케어 지수가 XBI 대비 견조하게 유지된 점에 주목하는데 향후 금리 인하와 더불어 글로벌 매크로상황에 따라 글로벌 헬스케어 대형주 및 바이오텍 지수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다. ◆ ″뷰티 디바이스는 이제 피어나는 시장″ 의약품 밸류체인은 크게 개발, 생산, 판매 세 가지 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는 신약개발(2015~2017년), 판매(2017~2020년), 생산(2020~2024년) 중심으로 한 단계씩 발전해 왔다. 구체적으로 지난 2015년 한미약품[128940] 주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