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최용현 연구원] 지난 11월 24일~12월 1일 포스코아르헨티나를 방문해 염호 리튬 사업을 확인했다. 현재 포스코아르헨티나는 1단계 준공 후 램프업(Ramp-up) 기간을 거치고 있고 2단계는 착공 중이다. 3단계 진행 여부는 리튬 업황 부진으로 아직 미정인 상태다.
1단계, 2단계 리튬 사업 가치는 리튬 가격을 톤당 1만 달러로 가정했을 때 NPV(Net present value) 2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포스코아르헨티나는 이미 생산하고 있는 경쟁사들 대비 높은 리튬 농도(900mg/L)를 확보하고 있고 아르헨티나의 우호적 로열티(3.5%)로 Ramp-up 이후 안정적인 EBITDA(세금, 이자,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순이익)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
◆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
하지만 지금의 리튬 업황에서는 투자 금액을 회수하기까지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리튬 가격 반등 시 포스코아르헨티나는 경쟁사 대비 강력한 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
리튬 사업 포스코아르헨티나 리튬 사업의 경쟁력은 자연조건, 우호적인 아르헨티나 정부다. 자연조건은 리튬 생산에 있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리튬 농도가 높고 불순물이 적어야 한다.

포스코아르헨티나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는 불순물 대비 리튬 농도가 업계 최상이므로 수익성 또한 경쟁사 대비 높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리튬 생산에 있어서 정치적 요소도 큰 영향을 미친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해외 기업 리튬 생산에 우호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포스코아르헨티나가 정부에 지불하는 주요 금액은 세금 25% (RIGI 혜택 가정), 로열티 3.5% 수준으로 추정된다. 리튬 가격에 따라 변동비 형태로 로열티를 지불하는 칠레 리튬 생산 대비 우호적이다.
리튬 생산국으로서 아르헨티나가 가지는 국가적 리스크를 우려하는 투자자가 많다. 하지만 현 아르헨티나 정부는 해외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어 오히려 리튬을 생산하기 유리한 상황이다.
아르헨티나는 해외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프로그램 RIGI를 도입하면서 해외 투자자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RIGI는 대규모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뜻하고 조세/수출입/외환 사용에 있어 인센티브를 준다.
◆ ″리튬 기업 친화적인 정책 시행 중 ″
POSCO홀딩스 또한 RIGI 지원을 신청한 상태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요소는 관세 및 세금 리스크, 환 리스크, 물가 리스크다. 관세 및 세금 리스크의 경우 정부가 자유 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우려할 요소는 아니라고 판단되고 리튬을 달러로 결제하므로 리스크가 없다.
하지만 마지막 물가 리스크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인건비 증가는 운영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리튬 생산에 있어 인건비 비중이 크지 않아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리튬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에는 변함이 없다. POSCO홀딩스는 글로벌 리튬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염호를 확보해두었기에 향후 업황 개선 시 염호의 가치가 부각될 것이다. 특히 염호의 리튬 농도가 높고 로열티 비중이 낮다는 점은 향후 경쟁사들 대비 높은 레버리지 효과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