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한병화 연구원] 미국과 유럽의 올 1~4월 BEV 판매 증가는 전년 대비 6%에 그친 반면 하이브리드는 각 37%, 22% 증가했다. 절대 판매대 수도 미국에서는 43만9000대로 BEV 35만8000대를 추월했고 유럽에서는 132만8000대로 BEV(59만3000만대)와의 격차를 더 확대시키고 있다.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하이브리드에 대한 강한 수요에 자극되어 신규 모델 도입을 늘리고 있어서 당분간 전기차대비 우월한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 ″하이브리드의 약진은 미국⸱유럽 공통 사항″ 전기차에 대한 뜨거운 반응이 미국과 유럽에서 낮아지고 있는 이유는 충전 인프라 부족과 관리 부실, 중고 전기차의 높은 감가율, 전기차에 대해 늘어나고 있는 신규 세금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다가 결국 하이브리드로 발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 추세를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에 대한 정책 규제, 대중화 전기차 모델의 출시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EU의 강력한 유로7 도입 연기와 미국 바이든 정부의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비중 확대 정책에서 보듯이 당분간 하이브리드의 기세를 저지할 정책 모멘텀이 보이지
[유진투자증권=한병화 연구원] 미국은 최근 클린수소 전략과 로드맵을 발표했다. 오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클린 수소의 비중을 10%로 설정하고 2030년 1000만톤, 2040년 2000만톤, 2050년 5000만톤의 클린수소 생산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교통, 발전, 산업용 수소 사용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수전해 설비 개발과 수소 생산, 수소허브 구축 예산으로 95억 달러를 지출하게 된다. 그린수소 생산에 최대 3달러/kg의 보조금이 포함된 IRA 시행으로 관련 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미국의 수소산업 성장은 이제 지속 가능한 영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된다. ▲“미국의 수소산업 성장은 지속가능한 영역으로 진입” EU는 REPowerEU를 통해 2030년 역내 생산 1000만톤, 역외수입 1000만톤의 그린수소 생산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역내 펀드(IPCEI)를 통해 관련 개발 프로젝트와 인프라에 예산 집행을 시작했다. 특히 지난 4월에 2030년 이후 각 산업별 그린수소 사용 할당량 의무화를 잠정합의 한 상태다. 2030년 기준 산업용 수소는 42%, 교통용 수소는 1~5.5%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