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이화정 연구원] 현재 K팝은 과도기이다. 기존 아티스트의 대중 인지도가 높아지자 코어팬 일부가 이탈, 신인 아티스트의 팬덤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세대교체는 산업 특성상 흔한 일이다. 하지만 엔터주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이후 처음으로 겪는 상황인 탓에, 투자자들은 여전히 산업의 성장성이 남아있는지를 의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엔터 4사 2025년 평균 PER은 15.0배이다. 2025년 이익 성장률을 감안하면 상당히 매력적인 수준이다. 이에 현재 K팝의 과도기가 어디쯤 왔는지 점검해 봤다. ◆ ″음원, 로마에선 로마법을 따르자″ 험난한 상반기였다. 연이은 초동 판매량 부진으로 산업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민희진 사태로 산업 특유의 휴먼 리스크까지 재차 확인됐다. 펀더멘털 우려에 소모적인 노이즈까지 발생한 만큼 투자자 피로도는 극에 달했다. 이에 현재 산업에 대한 시장 관심도 역시 낮아진 상태로 연초 이후 엔터 4사 주가는 무려 평균 29%나 하락했다. 딱히 무난했던 시기가 없었다지만 올해는 유독 쉽지 않다. 산업이 과도기에 온 탓이다. 최근 기존 아티스트들이 유독 덜 K팝스러운(=대중 어필이 가능한) 음악을 우후죽순 발매하
[NH투자증권=이화정 연구원] 연초 이후 엔터주 주가 흐름은 다소 지지부진했다. 애초에 아티스트 활동 비수기로 실적모멘텀이 부족한 구간인데 투자 센티먼트를 훼손하는 부정적인 이벤트까지 연달아 발생했다. ITZY, NMIXX에 이어 르세라핌의 신보 판매량까지 역성장을 기록하며 수요 둔화우려가 재차 불거졌고 에스파 핵심 멤버 열애에 따른 팬덤 이탈 우려가 제기되며 산업 특유의 인적 리스크까지 부각됐다. 말 그대로 설상가상이었다. ◆ ″산업의 성장성은 여전히 충분하다″ 하지만 한동안 부진했던 엔터주에도 드디어 봄이 온다. 3월 NCT드림을 시작으로 TXT·뉴진스, 베이비몬스터 등 다양한 아티스트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이 가운데 르세라핌의 신곡 ′Easy′가 빌보드 Hot 100에 진입, 초동 부진에도 음원 성과가 좋아지는 사례가 재차 등장했다. 아티스트 활동에 따른 실적 모멘텀이 강화되는 가운데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음원이 재차 조명받을 수 있는 기회다. 본격적인 리바운드가 기대된다. 엔터산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Positive(긍정)를 유지한다. 개별 음반 관점에서는 판매량 성장세둔화가 불가피하다. 기존 아티스트의 수명은 장기화되고 신규 아티스트의 흥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