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UP=권소희 기자] 서희건설이 건설업계 안팎의 눈길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최근 들어 조합들과의 갈등이 격화 중인 상황에서 사정당국과 정부기관의 압박(?)을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소문이 사실이라면 지역주택조합 주택사업(이하 지주택)으로 몸집을 키운 뒤 조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발주하는 관급공사 수주를 따내는 등 사업영역을 넓혀왔던 서희건설의 입지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팩트UP>에서는 사실관계를 짚어봤다.
◆ ″서희건설 지주택 이야기죠?″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서희건설이 정치권 이슈로 떠오르며 국토부의 전수 조사를 받은 것은 맞다. 최근 국토부는 전국 618개 지주택 조합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187개 조합(약 30%)에서 총 293건의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파악했고 해당 조합들을 대상으로오는 8월 말까지 실태 점검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런 가운데 서희건설 ′발등의 불 떨어졌다′고 나오는 배경은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에 기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대구 유세 중 지주택 피해자들이 다가와 ″분담금이 3억에서 7억으로 올랐다″며 억울함을 호소하자 ″필요하면 입법을 하던지 합리적 방안을 찾겠다″고 답변했다.
게다가 지난 6월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에서 지주택 피해자의 발언에 대해 ″서희건설 지주택 이야기죠? 조사 중이다″라고 서희건설을 꼭 짚어 답변했다.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서희건설이 정치권 이슈 중심에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대통령이 직접 실명을 거론했다는 점을 봤을 때 지주택 사업을 통해 쌓아온 기초체력을 바탕으로 재건축, 기업형 임대주택, 민간공원조성 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는 행보에 제동이 걸릴 확률이 높다″고 관측했다.
◆ ″사업구조 재편은 미지수(?)″
서희건설은 지난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지주택 사업에 진출해 틈새시장을 공략, 높은 재무 안정성과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급성장해 왔다. 지주택 사업 초기 단계인 조합 설립부터 개별 조합원들에 정보를 제공해 원활한 사업 추진을 주도하고 시공까지 맡으면서 실적을 쌓아왔던 것이다.
현재 서희건설은 전국 80여 개 단지, 약 10만 세대에 달하는 사업을 수주하며 지주택 분야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비 증액 요구를 둘러싼 논란이 곳곳에서 터지며 비판 여론에 직면한 상태다.
실제 서희건설은 첫 재건축사업인 남양주 평내진주아파트 분담금을 두고 조합원들과 갈등을 겪으면서 2019년부터 소송전을 이어온 바 있다. 게다가 지난 2021년에는 부실시공 벌점이 가장 높은 건설사라는 불명예를 안은 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토부의 이번 점검은 단순 민원 접수를 넘어 시공사와 조합 간 계약의 투명성, 공사비 정산 문제, 조합원 분담금 요구의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토부의 이번 실태 점검을 계기로 서희건설이 지주택 중심 사업 구조 자체를 재편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