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전체기사 보기


[팩트체크] 현대제철, ‘구조조정’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포항공장 2공장과 중기부 직원들 인력 재배치 작업 진행 중

[팩트UP=권소희 기자] 최근 철강업계에 현대제철이 본격적으로 구조조정에 들었갔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비상경영 체제를 명분으로 내세우면서 희망퇴직과 더불어 현장 인력의 전진배치를 하고 있다는 게 주요 골자다. 업계에서 이 같은 소문이 확산되면서 현대제철의 행보가 주목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이 회사는 노조측과 투쟁을 겪어온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팩트UP>에서는 소문의 진실과 노사 갈등 여부 등을 확인했다. ◆ “당진공장으로 인력 이동 추진 중”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현대제철이 구조조정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은 맞다. 회사 측은 비상경영체제의 일환으로 희망퇴직과 전배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 적절한 인력 배치를 위한 조치라고 입장을 밝히며 구조조정을 인정했다. 현대제철에 따르면 지난 6월 포항2공장의 무기한 셧다운에 돌입하고 포항1공장의 중기사업부 매각을 검토 중이다.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수요 침체 장기화 속에서 고정비 절감 및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현대제철은 이에 따라 직원들의 당진 전환배치 신청을 받아 진행 중에 있다. 그런데 포항공장2공장과 중기부 직원들의 배치

[팩트체크]티맵모빌리티, IPO 총괄 책임자 공석이라고(?)

남궁경IR 총괄이 최근 퇴사…올해 2조4000억 IPO 약속 ‘안갯속’

[팩트UP=권소희 기자] SK스퀘어 자회사 티맵모빌리티의 기업공개(IPO) 총괄 책임자가 공석이라는 얘기가 업계에 나돌고 있다. 만일 이 같은 얘기가 사실이라면 재무적 투자자(FI)들에게 올해까지 상장을 약속했던 티맵모빌리티 입장에선 이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티맵모빌리티의 IPO 총괄 책임자 공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는 공석이 사실일 경우 가까운 시일 안에 상장을 마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에 따른 것이다. <팩트UP>에서는 소문의 사실 여부와 향후 미치는 영향을 따라가 봤다. ◆ “지속적인 적자가 퇴사 배경(?)”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지난해 1월 티맵모빌리티의 IPO를 담당하기 위해 합류했던 남궁경IR 총괄이 최근 퇴사한 것은 맞다. 티맵모빌리티에서도 상장 총괄이 퇴사한 것은 맞으며 현재 IPO를 담당할 새로운 인력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IPO 총괄 책임자가 공석인 것을 시인한 것이다. 남궁경IR 총괄은 싱가포르 자산운용사에서 20년 간 일한 투자 전문가으로 정평이 나 있는 인물이다. 그는 티맵모빌리티에 합류한 후 성공적인 IPO 달성이라는 주어진 최우선

[팩트체크]코오롱인더스트리, R&D 인력 구조조정 중이라고(?)

R&D 조직들 ‘연구개발본부’로 통합…진행 중인 연구과제 우선 순위 고려 일부 개편

[팩트UP=권소희 기자] 코오롱그룹의 리빌딩이 재계 안팎의 눈길을 모으고 있는 상황에서 그룹 주력 계열사 중 하나인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현재 R&D 인력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 같은 소문이 꼬리를 물고 확산되면서 재계 일각에선 진위 여부를 떠나 계열사 실적 악화로 인한 그룹 전반의 침체와 연관돼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실제 코오롱그룹은 주력 계열사의 성장이 정체되면서 그룹 전체 외형이 지난 2022년 정점 이후 쪼그라들어 있는 상황이다. <팩트UP>에서는 소문의 진위 여부를 확인해 봤다. ◆ “직원들의 전환 배치 마무리”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현재 R&D 인력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라는 소문은 사실과 약간 동떨어져 있다. 인력 재편 과정에서 부서 간 이동을 인위적인 구조조정으로 오인한 흔적이 엿보인다. 코오롱인더스트리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1월 세계 수준의 R&D 역량을 한층 끌어 올리기 위해 기존에 이원화돼 있던 R&D 조직들을 ‘연구개발본부’로 통합했다. 그러면서 진행 중인 연구과제들을 우선 순위를 고려해 일부 개편했다

[팩트체크]하이브, 국세청에서 세무조사에 조사4국 2개팀 투입했다고(?)

지난 7월 29일 사전 예고 없이 서울 용산구 소재 하이브 본사 투입…회계장부 등 예치

[팩트UP=권소희 기자] 국세청이 하이브 세무조사에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2개팀이 투입했다는 소문이 돌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 비정기 세무조사라고 하더라도 1개 팀이 투입되는 것이 일반적라는 이유에서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세무조사가 이례적인 만큼 조사 강도 역시 매우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조사 대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팩트UP>에서는 진실을 따라가 봤다. ◆ ″세무조사 강도 매우 높을 것″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2개팀이 투입된 것이 맞다. 서울국세청 조사4국이 하이브에 대한 예치에 들어간 것은 지난 7월 29일이다. 이날 국세청의 방문은 사전 예고 없이 이뤄졌다. 서울 용산구 소재 하이브 본사를 방문한 국세청 직원들은 회계자료 등을 일괄 예치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정밀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하이브는 이번 세무조사 대응을 위해 김앤장을 세무대리인으로 선임해 대응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국세청의 이번 특별세무조사의 경우 국세청이 발표한 ‘주식시장 불공정 탈세’ 27개 대상 기획 세

[팩트체크] 현대차, 재팬모빌리티쇼 12년 만에 참가한다고(?)

현대차그룹의 ′수소 모빌리티 비전′ 보여주는 전시 준비 중

[팩트UP=권소희 기자]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도쿄모터쇼에서 이름을 바꾼 올해 재팬모빌리티쇼에 참여한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기아 또한 참가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이밖에 롯데이노베이트와 롯데글로벌로지스, 롯데캐미컬 등 롯데 계열사도 이번 전시회에 참가할 예정이라는 후문이다. ′재팬모빌리티쇼2025′는 오는 10말 경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현대차가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다는 소식이 회자되는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지난 2013년에 대형 트럭 ′엑시언트′를 선보인 것을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참가를 하지 않고 있다는 게 그것이다. <팩트UP>에서는 사실관계와 배경을 주목했다. ◆ ″시동 건 글로벌 수소전략 눈길″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현대차가 ′재팬모빌리티쇼2025′에 참가하는 것은 맞다.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에서 극도의 부진을 겪다 판매를 중단한지 12년 만이다. 재팬모빌리티쇼는 2년 주기로 열리는 일본 최대 규모의 자동차 전시회이자 아시아 대표 모빌리티 행사로 꼽힌다. 역사도 70년이나 됐다. 이 전시회는 과거 동경모터쇼로 불렸으나 2년 완전 탈바꿈했다. 명칭을 재팬모빌리티쇼로 변경하고 자동차,

[팩트체크] 불확실성 커진 ′LG전자′…허리띠 졸라맨다고(?)

관세부담⸱물류비 증가⸱업황 악화⸱시장 경쟁 심화 ′사중고′…비용 절감 가이드라인 공지

[팩트UP=권소희 기자] ′LG전자號′가 관세 부담과 물류비 증가로 난항을 겪고 있다. 게다가 업황 악화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이어지면서 하반기 실적 반등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는 LG전자가 업황 악화에 비용 절감을 포함한 가이드라인을 실천하며 허리띠를 졸라매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회자되고 있다. <팩트UP>에서는 LG전자의 현주소와 움직임을 따라가 봤다. ◆ ″관세 부담과 물류비 증가로 타격″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LG전자가 허리띠를 졸라매기 시작했다는 것은 어느 정도 맞다. 하지만 업계 소문과 같이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계획을 세웠지만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럼에도 업계 일각에서 이러한 소문이 돌고 있는 이유는 2분기 실적에 기인한다. LG전자가 지난 25일 발표한 실적에 따르면 2분기 매출 20조7352억원, 영업이익 6394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2분기 영업이익이다. 전년 동기 대비 46.6% 줄었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이 같은 영업이익 감소 이면에는 관세 부담과 물류비 증가의

[팩트체크] 조합들과의 갈등 격화 중인 ′서희건설′, 발등의 불 떨어졌다고(?)

정치적 이슈 중심에 선 서희건설, 이재명 대통령 조사 중이라는 발언에 이목 집중

[팩트UP=권소희 기자] 서희건설이 건설업계 안팎의 눈길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최근 들어 조합들과의 갈등이 격화 중인 상황에서 사정당국과 정부기관의 압박(?)을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소문이 사실이라면 지역주택조합 주택사업(이하 지주택)으로 몸집을 키운 뒤 조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발주하는 관급공사 수주를 따내는 등 사업영역을 넓혀왔던 서희건설의 입지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팩트UP>에서는 사실관계를 짚어봤다. ◆ ″서희건설 지주택 이야기죠?″ 업계와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서희건설이 정치권 이슈로 떠오르며 국토부의 전수 조사를 받은 것은 맞다. 최근 국토부는 전국 618개 지주택 조합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187개 조합(약 30%)에서 총 293건의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파악했고 해당 조합들을 대상으로오는 8월 말까지 실태 점검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런 가운데 서희건설 ′발등의 불 떨어졌다′고 나오는 배경은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에 기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대구 유세 중 지주택 피해자들이 다가와 ″분담금이 3억에서 7억으로 올랐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