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UP=정도현 기자]10월 11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기준금리의 0.25% 인하를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 부담액은 약 6.0조원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어, 고금리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던 경제주체들의 부담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은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의 금리인하 결정은 지난해 1월 3.25%였던 기준금리를 3.50%로 인상한 이후 21개월만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0.50%까지 내려갔던 기준금리는 2021년 8월을 시작으로 9차례 인상되어 2023년 1월 3.50%까지 상승했다. 이후 한은은 13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하는 등 기준금리 인하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그동안 경기침체,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인해 2022년 이후 기업과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가계와 기업의 대출 연체율은 2020~21년 저금리 기조 하에 하락세를 보였으나, 기준금리가 1%대를 초과한 2022년 2분기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기업 대출 연체율은 1분기 0.48%, 2분기 0.46%로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 1분
[팩트UP=정도현 기자]채권 전문가 64%는 오는 1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투자협회는 '2024년 11월 채권시장지표'에서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달 26일부터 지난 2일까지 채권 보유 및 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의 응답을 분석한 것이다. 금투협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 단행과 9월 국내 소비자 물가상승률 1%대 진입으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예상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채권 금리가 보합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응답이 64%로 지난달(46%)보다 눈에 띄게 증가했다. 채권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12%로 지난달(18%)보다 6%포인트 줄었고,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은 24%로 지난달(36%)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최근 국고채 금리가 한은의 긴축 완화 기대감을 이미 충분히 반영한 수준으로 하락하자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금통위 후에도 채권 금리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악화했고, 환율 관련 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개선됐다. 다음 달 물가
[팩트UP=정도현 기자]추석까지 이어진 무더위가 물러나고,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최근 일교차가 10도를 넘나드는 등 본격적인 환절기에 접어든 가운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신체 보호를 위한 건강 관리에 신경쓰는 추세다. 정크푸드 대신 다양한 영양소를 고루 함유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는 등 소비자는 저마다의 방법으로 건강 챙기기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허벌라이프가 발표한 ‘아시아 퍼시픽 건강관리 우선순위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이 건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 행동을 묻는 질문에 42%의 소비자가 ‘균형잡힌 건강한 식단 유지’를 선택하기도 했다. 이에 최근 식품업계는 간단하게 섭취하여 건강을 챙길 수 있는 과일부터 단백질 파우더, 간편식 등 풍부한 영양소를 고루 갖춘 제품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글로벌 청과 기업 스미후루코리아는 환절기 균형 잡힌 영양 간식으로 프리미엄 바나나 ‘풍미왕’과 ‘감숙왕’을 추천했다. 바나나는 항산화 작용으로 건강 유지를 돕는 토코페롤(비타민E)를 비롯해 비타민A, 비타민B6 등을 풍부하게 함유해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과일이다. 또한, 다량의 탄수화물을 통해 빠르게
[팩트UP=정도현 기자]상법 전공 교수 60% 이상이 이사 충실의무를 확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에 반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전국 법학전문대학원 및 대학교 법학과에 소속된 상법 전공 교수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 99명 중 62.6%가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반대 이유로는 회사법에 소수주주 보호 조항 이미 있다는 의견이 40.3%로 가장 많이 꼽혔다. 회사법 근간 훼손(27.4%), 이사 충실의무 주주 확대 시 필요 조항(부작용 방지 조항) 미비(24.2%)가 뒤를 이었다. 상법 전문가 집단에서 현행법을 통해 소액주주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법 체계를 위협할 수 있는 개정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을 낸 것이다. 이사 충실의무 확대 시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는 의견도 65.7%에 달했다. 긍정적이라는 견해(34.3%) 대비 2배 이상 많았으며 ‘매우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25.3%에 달했다. 기업에 악영향을 예상하는 이유로는 49.2%가 이사에 대한 소송 증가로 투자 등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동주의펀드 등 투기자본의 경영 간섭 증가(33.9%), 채권
[팩트UP=정도현 기자]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2024년 10월 BSI 전망치는 96.2를 기록했다. BSI 전망치는 지난 9월(92.9) 대비로는 3.3p 반등했지만 2022년 4월(99.1)부터 기준선 100을 31개월 연속 하회하고 있다. 9월 BSI 실적치는 89.9로 조사되었다. 2022년 2월(91.5)부터 32개월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업종별 10월 경기 전망은 제조업(96.4)과 비제조업(96.0)의 동반 부진이 예상된다. 제조업 BSI는 올해 3월(100.5) 기준선 100을 초과한 이후, 4월(98.4)부터 7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무르고 있다. 비제조업 BSI는 올해 7월(105.5) 기준선 100을 초과한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에 못 미쳤다. 10월 제조업 전망은 세부 업종(총 10개)의 수출 분야에 따라 전망이 크게 엇갈렸다.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15.0) ▸비금속 소재 및 제품(107.1) ▸전자 및 통신장비(106.3)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105.4) 등
[팩트UP=정도현 기자]대한두통학회가 대한민국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두통 실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 달에 8일 이상 두통을 경험한 직장인이 약 20%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8명은 두통으로 인해 업무에 지장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두통의 빈도, 증상, 두통으로 인한 업무생산성, 편두통 질환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기 위해 직장인 플랫폼 ‘리멤버’ 이용자를 대상으로 8월 21일부터 8월 23일까지 모바일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최근 1년 간 두통을 경험한 적이 있는 직장인 500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직장인이 한 달 동안 두통을 겪은 일수는 ‘1일 이상 4일 미만(50.4%, 252명)’이 가장 많았으며, ‘4일 이상 8일 미만(29%, 145명)’ ‘8일 이상 15일 미만(13.6%, 68명)’ ‘15일 이상(7%, 35명)’ 순으로 나타나 전체 응답자의 약 20%가 한 달에 8일 이상 두통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한두통학회 주민경 회장(세브란스병원 신경과)은 "이번 조사를 통해 직장인 10명 중 2명은 보다 적극적인 두통 치료(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