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지정학적 이슈는 2024년 지속될 것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석유화학 시황은 혼조세이다. 다만 주요 다운스트림 업체는 1분기 실적 전반 호조이며 2분기 또한 성수기+환율효과 부각이 예상된다.
다운스트림 화학업체의 실적은 업스트림 NCC 업체 대비 견조하나 단기 저점 매수 가능 구간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최우선주로는 효성첨단소재[298050], KCC[002380], 금호석유[011780], 효성티앤씨[298020], 유니드[014830] 등을 제시한다.
◆ ″단기적으로 정유업체의 모멘텀 약화″
2024년 지정학적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나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유가 급등으로 인한 휘발유, 등/경유 등 제품 수요 부담이 관찰되고 최근 정제마진 약세를 통해 이를 확인했다. 중국의 석유제품 순수출 확대, 나이지리아/카타르 등 신규 증설 물량 출회 등도 정제마진 약세의 배경이다.

단기적으로 정유업체 주가 모멘텀 약화되나 다만 현재의 정제마진이 지속될 경우 일부 업체의 적자 가능성 또한 높아지기에 가동률 조정 등을 통한 마진 반등 가능성 높다는 판단이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대폭 적자에서 확인할 수 있듯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시장은 공급과잉의 압박을 받고 있다. 이는 중국의 공급과잉이 동남아/인도 등을 통해 미국으로 전이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올해 6월 이후 관세 부활로 미국 공급과잉 완화 가능성 높아지나 단기적으로 2분기에도 모듈 업체의 부진한 실적은 지속될 것이다. 참고로 중국 폴리실리콘 가격은 5$대까지 하락했고 Non-China 폴리실리콘 또한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과잉은 지속 중이다.
◆ ″단기적으로 태양광 업체의 모멘텀 약세 지속″
석유화학 시황 부진은 NCC의 공급과잉과 유가/달러 강세에 따른 결과이다. 여전히 업황 전반의 추세적 회복을 논하기는 이르다. 다만 전반적인 업황 부진 속에서도 Top-Tier 다운스트림 업체의 실적은 전년 대비 개선되며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시현 중이다.
유니드는 컨센 +15% 상회, 효성티앤씨/효성첨단소재는 컨센을 각각 +51%/+28% 상회하고 있다. 하나증권 추정치 기준 금호석유/KCC 또한 컨센 부합/상회 예상된다.
특히 최근 중국 승용차의 타이어 가동률이 6년 래 최대치를 기록하며 긍정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 구체화 등을 감안할 때 타이어 관련 체인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이 유효하다.
특히 다운스트림 업체의 주가는 연초대비 모두 하락해 1분기 실적 개선과 2분기 환율 상승/물량 증가 효과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낙폭 과대 Top-Tier 다운스트림 업체에 대한 저점 매수 유효한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