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경제분석] ″통신서비스, 5G 특화망 사업자의 빠른 증가″

KB증권 ″5G 특화망 구축 사이트, 1년간 2배 늘어난 54곳으로 증가″

[KB증권=김준섭 연구원] 과기정통부는 지난 2023년 연말 기준 5G 특화망 사업자는 30개, 5G 특화망을 설치한 곳은 54개로 2022년 연말 특화망 사업자 26개소 대비 2배 늘어났다고 보고했다.

 

5G 특화망(Private 5G)는 제조, 운송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구축하는 5G 사설 네트워크로 국내에서는 ′이음 5G′라고도 명명하고 있다.

 

◆ ″5G 특화망 수요 증가로 네트워크 이중화 눈길″

 

지난 2021년 12월부터 5G 특화망 관련 서비스 개시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제조, 의료, 물류 등 9개 분야에서 사용을 시작했고 2023년에는 철강, 교육 등 14개 분야로 확대됐다.


특히 물류업, 제조업의 경우, 5G 특화망 도입 시 기존 5G 서비스 대비 빠른 속도와 높은 안정성이라는 장점을 기반으로 수요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 및 리스크 관리 능력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생산시설에 AI를 적용한 자율 제조 환경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5G 특화망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 기대되고 있으며, 노동 인력 감소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 ″운영 지원 서비스 활성화 기대″

 

이음 5G 사업자들은 협동 로봇, 머신 비전 등 Mission-Critical한 솔루션(통신망이 끊겼을 때 문제가 발생하는 솔루션)을 중심으로 하면서 네트워크 이중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신사업자들은 통신망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갖고 있어 이음 5G 사업자를 대상으로 컨설팅 및 운영 지원 서비스 개시(SK텔레콤[017670]–한수원, SK네트웍스[001740], KT[030200]-삼성서울병원, LG유플러스[032640]-CJ올리브 네트웍스)하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