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신한금융지주 인공지능 자회사 ′신한AI′…올해 말 청산된다고(?)

사업 일부 신한은행에 양수도 나머지는 청산 키로 결정…이유는 ′실익 크지 않다′ 판단

[팩트UP=권소희 기자] 금융업계 안팎에서 신한금융지주가 화두에 올랐다. 계열사 1곳을 없앤다는 소문 탓이다. 현재 지목받고 있는 계열사는 인공지능 자회사인 ′신한AI′다. 만일 이 회사가 맞다면 설립 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셈이다. 


사실 신한AI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의 야심작이었다. 신한금융지주가 100% 출자해 설립한 금융지주회사 최초의 AI 전문회사이자 디지털금융의 선봉장 역할을 해왔다. 


 

 

특히 지난해 신한지주사 최초로 상장추진을 진행해 금융권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런 회사가 청산절차에 들어갔다는 사실에 금융권에서는 술렁이는 것은 당연자사. <팩트UP>에서는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 ″올해 말까지만 사업을 이어간다″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가 ′신한AI′ 청산절차에 돌입한 것은 맞다. 기한은 올해 말까지다. 신한금융지주가 이 같은 결정을 한 배경으로는 신한AI를 별도 자회사로 유지할 실익이 크지않다는 판단에 기인하고 있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신한금융지주는 ′신한AI′ 사업 일부를 신한은행에 양수도하고 나머지는 청산키로 했다. 


지난 2019년 설립된 신한AI를 5년만에 청산하게 된 것은 AI기반 자문 등을 업무로 하는 만큼 별도 자회사로 유지할 실익이 크지 않기 때문으로 경영 성과도 예상만큼 따라주지 않아 추가적인 지원보다는 청산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후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신한AI는 조용병 전 회장이 알파고와 이세돌 기사의 대결을 보며 AI와 금융을 접목할 것을 주문하며 시작됐다″면서 ″이에 2017년부터 AI를 통한 시장 예측 프로그램 ′보물섬 프로젝트′를 가동했고 예측률이 90% 가까이 되자 2019년 신한AI의 자회사 출범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후 자산 배분, 상품 추천 등 금융 분야에서 AI기술을 접목해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신한DS와 함께 디지털금융의 선봉장 역할을 했다″며 ″지난해 8월 국내 금융지주회사 최초로 상장을 추진키로 해 주목을 받았는데 오히려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니 믿기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 ″올해 말까지만 사업을 이어간다″

 

그러면 신한금융지주의 디지털 전략이 바뀌는 것일까.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디지털 전략이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신한금융지주가 비대해진 계열사 효율화를 위해 지배구조 통합을 검토하고 있어서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에서는 비용 절감과 더불어 계열사 간 고객정보 활용 시너지도 되살릴 수 있다는 장점을 이유로 운용사 등 비주력 비은행 계열사 교통정리가 주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그룹에서는 중장기 과제로 ′신한은행-신한카드′ 통합 역시 선택지 중 하나로 올라가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 한 고위 관계자는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업계 1위 신한카드를 은행과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는 카드사 업황 악화 상황이 심상치 않은 데다 그룹 차원에서도 비용을 축소해 내실을 다지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통합하면 장점도 있지만 사업영역이 은행의 겸영 및 부대 업무로 한정돼 카드사 특화 사업영역을 대부분 포기해야 한다는 점이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면서 ″이 과정에서 인력 재배치 등 구조조정은 물론 은행 노동조합 반발이 불가피한 만큼 금융당국의 승인까지도 쉽지 않은 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