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경제분석] 유통산업 ′털건 털고 가자′
[NH투자증권=주영훈 연구원] 국내 주요 백화점 업체들의 기존점 매출액은 관리 매출액 기준 평평한(Flat) 수준으로 추정한다. 기존 예상보다는 성장률이 높지 않은데 주된 원인은 따뜻한 날씨에 있다. 4분기 평균 기온은 전년 동기 대비 1도 가량 높았다. 지난 3분기도 서울에 사상 첫 9월 폭염경보가(일 최고 체감온도 35도 이상) 내려질 정도로 무더위가 발생하며 가을 의류 판매가 부진했는데 이러한 추세가 겨울까지 이어진 점이 아쉽다. 물론 과거와 달리 현재 백화점 매출에서 의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전체 매출 비중의 3분의 1은 명품이며 명품 관련 수요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의류는 고마진 품목에 해당하기 때문에 마진율 측면에서는 여전히 고려해야 하는 변수이며 4분기 백화점 업체들의 매출총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이 불가피하다. ◆ ″면세점, 숫자는 보수적으로 접근하자″ 반면 비용 측면에서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주요 백화점 기업들이 마케팅 비용을 비롯해 판관비 효율화 노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며 2025년에도 이러한 방향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존점 매출 성장이 다소 부진하는 경우에도 전년 동기 대
- 주영훈 연구원 기자
- 2025-01-13 13:30